이명의 치료
이명의 치료에는 약물치료, 장비치료, 정신의학적 치료, 한방적 치료, 수술적 치료, 소리치료(이명재훈련치료) 등이 있다.
1) 약물치료
☆혈관확장제(vasodilators) : 내이의 국소혈관의 혈행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혈관확장제를 사용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이명을 호전시킴
☆진정제 : Barbiturate, luminal 등이 사용되는데 이들은 정신긴장상태를 이완시키고 자 율신경을 안정시켜 타 치료법의 보조역할을 한다.
☆국소마취제 : lidocaine 약제로 정맥주사로 주입하여서 자극의 생성을 억제하고 자극의 전달을 차단하거나 속도를 줄여준다.
☆진정제(anticonvulsants) : 장기간 사용 시 부작용이 있어서 장기간 복용은 피한다.
☆항히스타민제(antihistamines) : 알레르기가 동반된 이명 환자에게 사용
☆antidepressants : 불면증을 동반한 이명 환자에게 효과적이다.
☆은행나무잎 추출물(ginkgo biloba extract) : 이명에 적용을 했지만 효과가 제한적.
2) 장비치료
☆음향적 기구
○보청기(hearing aid), 음차폐기(masker), 이명장비(hearing aid +masker)
○환자의 청력을 좋게 하여 이명을 덜 느끼게 하거나, 환자에게 이명과 비슷한 음향을 주어서 이명을 차폐시켜서 치료
☆전기적 기구
○전기자극기(electrical stimulation), 인공와우(cochlear implant)
○전기적 자극에 의한 이명의 조절은 말초에서 차폐가 이루어 질 수 있 는 저기 에너지를 충전시킴으로써 이명을 느낄 수 있는 강도를 줄여줌 으로써 이루어짐.
3) 정신치료
: 심리적 측면에 대한 치료는 고통을 감소하는데 있다. 정신치료는 이완요법, 인지치료, biofeedback, 최면요법 등이 사용된다.
4) 수술적 치료
: 내림프수종 이경화증, 청신경종양, 경정맥소체 등 원인이 밝혀진 귀울림 환자에서 적용되는 것으로서 그 치료효과는 다양하게 보고 되고 있다.
5) 한방적 치료
6) 이명재훈련치료(TRT)